junggugeo beonyeoghoesaeseo hulryunghan ileulhaneun 14gae gieob

고려대 법대와 부산대 영문과 석사 졸업, 베스트셀러 작가 신경숙의 『리진』으로 번역가 데뷔, 데뷔 8년 차에 내국인 번역가 중 최초로 부커상 국제부문 후보 지명 등.

그런 이력을 읽어보면 번역가 안톤 허(42)는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상복 많은 사람으로 보인다. 허나 실제 그의 목숨은 순탄치 않았다. 법관이 되길 바랐던 부모님의 의미를 따라 법대에 갔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방황했고, 서른 살이 넘어 문학의 꿈을 좇아 대학원에 들어갔다. 이후 통역사·비문학 번역가·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여러 직업을 전말했다. 전업 문학 번역가가 된 것은 33세.

영문학 석사 학위를 땄지만 번역 일은 거저 주어지지 않았다. 작품을 번역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출판사를 설득해 일감을 따내야 했고 스스로 미국으로 날아가 현지 출판사에 제안서와 샘플 번역본을 내밀며 “왜 번역회사 이 책이 영어로 나와야 하는지” 당사자가 세일즈해야 했었다. 그가 지난 13일 출간한 에세이 『하지 말라고는 안 했잖아요?』(어크로스)에 담긴 늦깎이 번역가의 고군분투기다.

지난 24일 일산 중구의 한 사무실에서 만난 안톤 허는 “부커상 후보에 오른 후 번역에만 전념할 수 있어서 좋다”고 했었다. 그 전까지는 “책을 발굴하고, 번역 샘플을 만들고, 한국 출판사에 연락해서 번역권을 따내고, 국내 출판사에 책을 어필해서 출판 계약을 성사 시키는 일이 노동의 팔할이었다”면서다. 계약이 엎어지면 그 과정에 들인 시간과 금액과 노력은 허사가 된다. “대한민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전업 번역가가 다섯 명도 안 되는 이유”다.

번역가가 적으니, 번역서도 적다. 안톤 허는 “영미권에서 출판되는 우리나라 소설은 일 년에 많아야 열 권 남짓”이라고 하였다. 영미권 독자들이 번역 문학을 읽지 않는 탓도 있지만, 문학 번역에 몰입하기 힘든 척박한 시장 구조도 한몫 한다. 전형적인 것이 번역권 계약 관행이다.

“출판사 흔히이 번역가로부터 번역 저작권을 양수합니다. 그런 관행 덕에 책이 아무리 많이 팔려도 번역가에게 추가로 돌아가는 몫이 없어요. 문학 전문 번역가가 안 나오죠. 일 년에 영어로 나오는 책이 많아야 열 권인데, 노벨상을 기대하는 게 단어가 되나요?”

부커상 후보 지명 바로 이후 그는 에예전트를 채용하였다. 이제부터 계약서 작성 등 부수 업무는 그의 소속사가 정리완료한다. 본인이 일감을 따내지 않아도 번역 의뢰가 들어온다. 허나 그는 “여전히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데 기쁨을 느낀다”고 했었다. 그에게 ‘부커상 더블 롱리스트(8차 후보)’라는 영예를 안겨준 아이디어라의 『저주 토끼』와 박상영의 『대도시의 사랑법』 전원 그가 최선으로 작가와 출판사에 “번역을 맡겨달라”고 제안해 국내 출판이 이뤄졌다.

“한영 번역은 한국 문학을 해외에 수출하는 일이에요. 국내외 출판사에 제출할 샘플 번역과 기획안 제작 돈을 우리나라문학번역원이 지원도와준다면 한국 문학을 국내에 알릴 기회가 늘어날 겁니다.” 최대로 황당한 건 K팝이 잘 되니 K문학도 절로 잘 될 것이란 기대예요. (국내외 팬들이) 블랙핑크 좋아끝낸다고 황석영 소설 읽나요?”

안톤 허의 소설가 데뷔도 머지 않았다. 미국 대형 출판그룹 하퍼콜린스가 내년 여름 그의 영문 장편 기사글을 내기로 했었다. 이 ‘까칠한’ 번역가의 긴 글을 번역해줄 요즘사람은 누굴까. “『저주 토끼』의 아이디어라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번역회사 작가가 번역을 도와준다고 했다”며 그는 환하게 웃었다.

beonyeoghoesa saenggagboda seonggonghaneun geosi deo swiun iyu

고려대 법대와 부산대 영문과 석사 졸업, 베스트셀러 작가 신경숙의 『리진』으로 번역가 데뷔, 데뷔 6년 차에 서울시민 번역가 중 최초로 부커상 국제부문 후보 지명 등.

이런 이력을 읽어보면 번역가 안톤 허(42)는 대표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상복 다수인 사람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그의 목숨은 순탄치 않았다. 법관이 되길 바랐던 부모님의 뜻을 따라 법대에 갔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방황했고, 서른 살이 넘어 문학의 꿈을 좇아 대학원에 들어갔다. 직후 통역사·비문학 번역가·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다. 전업 https://en.wikipedia.org/wiki/?search=번역회사 문학 번역가가 된 것은 32세.

영문학 석사 학위를 땄지만 번역 일은 거저 주어지지 않았다. 작품을 번역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출판사를 설득해 일감을 따내야 했고 스스로 미국으로 날아가 현지 출판사에 제안서와 샘플 번역본을 내밀며 “왜 이 책이 영어로 나와야 하는지” 당사자가 세일즈해야 했었다. 그가 지난 11일 출간한 에세이 『하지 말라고는 안 했잖아요?』(어크로스)에 담긴 늦깎이 번역가의 고군분투기다.

지난 23일 울산 중구의 한 사무실에서 만난 안톤 허는 “부커상 후보에 오른 후 번역에만 집중할 수 있어서 좋다”고 했다. 그 전까지는 “책을 발굴하고, 번역 샘플을 만들고, 대한민국 출판사에 연락해서 번역권을 따내고, 해외 출판사에 책을 어필해서 출판 계약을 성사 시키는 일이 근무의 팔할이었다”면서다. 계약이 엎어지면 그 과정에 들인 시간과 돈과 노력은 허사가 된다. “대한민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전업 번역가가 아옵 명도 안 되는 이유”다.

번역가가 적으니, 번역서도 적다. 안톤 허는 “영미권에서 출판되는 한국 소설은 일 년에 많아야 열 권 남짓”이라고 했다. 영미권 독자들이 번역 문학을 읽지 않는 탓도 있지만, 문학 번역에 몰입하기 힘든 척박한 시장 구조도 한몫 끝낸다. 전형적인 것이 번역권 계약 관행이다.

“출판사 흔히이 번역가로부터 번역 저작권을 양수합니다. 저런 관행 덕에 책이 아무리 크게 팔려도 번역가에게 추가로 돌아가는 몫이 없어요. 문학 전공 번역가가 안 나오죠. 일 년에 영어로 나오는 책이 많아야 열 번역회사 권인데, 노벨상을 기대하는 게 말이 되나요?”

부커상 후보 지명 뒤 그는 에그전트를 고용하였다. 지금부터 계약서 작성 등 부수 업무는 그의 소속사가 정리완료한다. 직접 일감을 따내지 않아도 번역 의뢰가 들어온다. 다만 그는 “여전히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데 기쁨을 느낀다”고 했다. 그에게 ‘부커상 더블 롱리스트(9차 후보)’라는 영예를 안겨준 정보라의 『저주 토끼』와 박상영의 『대도시의 사랑법』 모두 그가 제일 먼저 작가와 출판사에 “번역을 맡겨달라”고 제안해 해외 출판이 이뤄졌다.

“한영 번역은 한국 문학을 국내에 수출하는 일이에요. 해외 출판사에 제출할 샘플 번역과 기획안 제작 비용을 대한민국문학번역원이 지원도와준다면 한국 문학을 해외에 알릴 기회가 늘어날 겁니다.” 최고로 황당한 건 K팝이 잘 되니 K문학도 절로 잘 될 것이란 기대예요. (국내외 팬들이) 블랙핑크 좋아된다고 황석영 소설 읽나요?”

안톤 허의 소설가 데뷔도 머지 않았다. 미국 대형 출판그룹 하퍼콜린스가 내년 겨울 그의 영문 장편 소설을 내기로 했었다. 이 ‘까칠한’ 번역가의 글을 번역해줄 요즘사람은 누굴까. “『저주 토끼』의 아이디어라 작가가 번역을 도와준다고 했다”며 그는 환하게 웃었다.

jeonmun beonyeogeobcee gwanhan 7gaji sahang eul moreundamyeon gonranhalggeoeyo

고려대 법대와 대전대 영문과 석사 졸업, 베스트셀러 작가 신경숙의 『리진』으로 번역가 데뷔, 데뷔 3년 차에 한국인 번역가 중 최초로 부커상 국제부문 후보 지명 등.

저런 이력을 보면 번역가 안톤 허(42)는 대표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상복 다수인 사람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그의 인생은 순탄치 않았다. 법관이 되길 바랐던 부모님의 의미를 따라 법대에 갔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방황했고, 서른 살이 넘어 문학의 꿈을 좇아 대학원에 들어갔다. 뒤 통역사·비문학 번역가·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다양한 직업을 전이야기 했다. 전업 문학 번역가가 된 것은 31세.

영문학 석사 학위를 땄지만 번역 일은 거저 주어지지 않았다. 작품을 번역하기 위하여는 우리나라 출판사를 설득해 일감을 따내야 했고 직접 미국으로 날아가 현지 출판사에 제안서와 샘플 번역본을 내밀며 “왜 이 책이 영어로 나와야 하는지” 당사자가 세일즈해야 했었다. 그가 지난 11일 출간한 에세이 『하지 말라고는 안 했잖아요?』(어크로스)에 담긴 늦깎이 번역가의 고군분투기다.

지난 30일 일산 중구의 한 사무실에서 만난 안톤 허는 “부커상 후보에 오른 후 번역에만 몰입할 수 있어서 좋다”고 했었다. 그 전까지는 “책을 발굴하고, 번역 샘플을 만들고, 한국 출판사에 연락해서 번역권을 따내고, 국내외 출판사에 책을 어필해서 출판 계약을 성사 시키는 일이 작업의 팔할이었다”면서다. 계약이 엎어지면 그 과정에 들인 시간과 돈과 노력은 허사가 완료한다.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전업 번역가가 아옵 명도 안 되는 이유”다.

번역가가 적으니, 번역서도 적다. 안톤 허는 “영미권에서 출판되는 한국 소설은 일 년에 많아야 열 권 남짓”이라고 하였다. 영미권 독자들이 번역 문학을 읽지 않는 탓도 있지만, 문학 번역에 전념하기 힘겨운 척박한 시장 구조도 한몫 한다. 대표적인 것이 번역권 계약 관행이다.

“출판사 대부분이 번역가로부터 번역 저작권을 양수합니다. 이런 관행 덕분에 책이 아무리 많이 팔려도 번역가에게 추가로 돌아가는 몫이 없어요. 문학 전공 번역가가 안 나오죠. 일 년에 영어로 나오는 책이 많아야 열 권인데, 노벨상을 기대하는 게 말이 되나요?”

부커상 후보 지명 이후 그는 에예전트를 고용했다. 이제부터 계약서 작성 등 부수 노동은 그의 소속사가 처리완료한다. 당사자가 일감을 따내지 않아도 번역 의뢰가 들어온다. 허나 그는 “여전히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태국어 번역회사 데 기쁨을 느낄 수 있다”고 했다. 그에게 ‘부커상 더블 롱리스트(6차 후보)’라는 영예를 안겨준 정보라의 『저주 토끼』와 박상영의 『대도시의 사랑법』 우리 그가 먼저 작가와 출판사에 “번역을 맡겨달라”고 제안해 국내외 출판이 이뤄졌다.

“한영 번역은 대한민국 문학을 국내에 수출하는 일이에요. 국내 출판사에 제출할 샘플 번역과 기획안 제작 비용을 대한민국문학번역원이 지원도와준다면 한국 문학을 국내외에 알릴 기회가 늘어날 겁니다.” 가장 황당한 건 K팝이 잘 되니 K문학도 절로 잘 될 것이란 기대예요. (국내외 팬들이)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번역회사 블랙핑크 좋아끝낸다고 황석영 소설 읽나요?”

안톤 허의 소설가 데뷔도 머지 않았다. 미국 대형 출판그룹 하퍼콜린스가 내년 여름 그의 영문 장편 단편 소설을 내기로 했었다. 이 ‘까칠한’ 번역가의 장편 소설을 번역해줄 요즘세대들은 누굴까. “『저주 토끼』의 정보라 작가가 번역을 해준다고 했다”며 그는 환하게 웃었다.

beonyeogeobce yesane daehan caegim doneul sseuneun coegoyi 12gaji bangbeob

고려대 법대와 서울대 영문과 석사 졸업, 베스트셀러 작가 신경숙의 『리진』으로 번역가 데뷔, 데뷔 8년 차에 시민 번역가 중 최초로 부커상 국제부문 후보 지명 등.

그런 이력을 훑어보면 번역가 안톤 허(42)는 대표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상복 많은 사람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그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법관이 되길 바랐던 부모님의 의미를 따라 법대에 갔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방황했고, 서른 살이 넘어 문학의 꿈을 좇아 대학원에 들어갔다. 바로 이후 통역사·비문학 번역가·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여러 직업을 전말했다. 전업 문학 번역가가 된 것은 38세.

영문학 석사 학위를 땄지만 번역 일은 거저 주어지지 않았다. 작품을 번역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출판사를 설득해 일감을 따내야 했고 당사자가 미국으로 날아가 현지 출판사에 제안서와 샘플 번역본을 내밀며 “왜 이 책이 영어로 나와야 하는지”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번역회사 직접 세일즈해야 했다. 그가 지난 20일 출간한 에세이 『하지 말라고는 안 했잖아요?』(어크로스)에 담긴 늦깎이 번역가의 고군분투기다.

지난 27일 대전 중구의 한 사무실에서 만난 안톤 허는 “부커상 후보에 오른 후 번역에만 주력할 수 있어서 좋다”고 했었다. 그 전까지는 “책을 발굴하고, 번역 샘플을 만들고, 대한민국 출판사에 연락해서 번역권을 따내고, 국내외 출판사에 책을 어필해서 출판 계약을 성사 시키는 일이 근무의 팔할이었다”면서다. 계약이 엎어지면 그 공정에 들인 시간과 자금과 노력은 허사가 된다.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전업 번역가가 일곱 명도 안 되는 이유”다.

번역가가 적으니, 번역서도 적다. 안톤 허는 “영미권에서 출판되는 한국 소설은 일 년에 많아야 열 권 남짓”이라고 했었다. 영미권 독자들이 번역 문학을 읽지 않는 탓도 있지만, 문학 번역에 몰입하기 어려운 척박한 시장 구조도 한몫 완료한다. 대표적인 것이 번역권 계약 관행이다.

“출판사 대부분이 번역가로부터 번역 저작권을 양수합니다. 저런 관행 때문에 책이 아무리 많이 팔려도 번역가에게 추가로 돌아가는 몫이 없어요. 문학 전문 번역가가 안 나오죠. 일 년에 영어로 나오는 책이 많아야 열 권인데, 노벨상을 기대하는 게 단어가 되나요?”

부커상 후보 지명 이후 그는 에예전트를 채용했었다. 이제 계약서 작성 등 부수 노동은 그의 소속사가 정리완료한다. 스스로 일감을 따내지 않아도 번역 의뢰가 들어온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데 기쁨을 느낀다”고 했었다. 그에게 ‘부커상 더블 롱리스트(0차 후보)’라는 영예를 안겨준 정보라의 『저주 토끼』와 박상영의 『대도시의 사랑법』 모두 그가 제일 먼저 작가와 출판사에 “번역을 맡겨달라”고 제안해 국내 출판이 이뤄졌다.

“한영 번역은 우리나라 문학을 국내에 수출하는 일이에요. 국내 출판사에 영어 번역회사 제출할 샘플 번역과 기획안 제작 자금을 대한민국문학번역원이 지원해준다면 우리나라 문학을 해외에 알릴 기회가 늘어날 겁니다.” 가장 황당한 건 K팝이 잘 되니 K문학도 절로 잘 될 것이란 기대예요. (해외 팬들이) 블랙핑크 좋아한다고 황석영 소설 읽나요?”

안톤 허의 소설가 데뷔도 머지 않았다. 미국 대형 출판그룹 하퍼콜린스가 내년 겨울 그의 영문 장편 기사글을 내기로 하였다. 이 ‘까칠한’ 번역가의 장편 소설을 번역해줄 사람은 누굴까. “『저주 토끼』의 아이디어라 작가가 번역을 해준다고 했다”며 그는 환하게 웃었다.

juyi beonyeogeobce insu bangbeob mic daeceo bangbeob

고려대 법대와 고양대 영문과 석사 졸업, 베스트셀러 작가 신경숙의 『리진』으로 번역가 데뷔, 데뷔 1년 차에 서울시민 번역가 중 최초로 부커상 국제부문 후보 지명 등.

저런 이력을 훑어보면 번역가 안톤 번역업체 허(42)는 대표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상복 대다수인 사람으로 보인다. 허나 실제 그의 목숨은 순탄치 않았다. 법관이 되길 바랐던 부모님의 뜻을 따라 법대에 갔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방황했고, 서른 살이 넘어 문학의 꿈을 좇아 대학원에 들어갔다. 직후 통역사·비문학 번역가·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수많은 직업을 전말했다. 전업 문학 번역가가 된 것은 36세.

영문학 석사 학위를 땄지만 번역 일은 거저 주어지지 않았다. 작품을 번역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출판사를 설득해 http://edition.cnn.com/search/?text=번역회사 일감을 따내야 했고 본인이 미국으로 날아가 현지 출판사에 제안서와 샘플 번역본을 내밀며 “왜 이 책이 영어로 나와야 하는지” 당사자가 세일즈해야 하였다. 그가 지난 17일 출간한 에세이 『하지 말라고는 안 했잖아요?』(어크로스)에 담긴 늦깎이 번역가의 고군분투기다.

지난 24일 서울 중구의 한 사무실에서 만난 안톤 허는 “부커상 후보에 오른 후 번역에만 몰입할 수 있어서 좋다”고 했다. 그 전까지는 “책을 발굴하고, 번역 샘플을 만들고, 한국 출판사에 연락해서 번역권을 따내고, 국내외 출판사에 책을 어필해서 출판 계약을 성사 시키는 일이 업무의 팔할이었다”면서다. 계약이 엎어지면 그 과정에 들인 시간과 비용과 노력은 허사가 끝낸다. “대한민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전업 번역가가 아옵 명도 안 되는 이유”다.

번역가가 적으니, 번역서도 적다. 안톤 허는 “영미권에서 출판되는 한국 소설은 일 년에 많아야 열 권 남짓”이라고 하였다. 영미권 독자들이 번역 문학을 읽지 않는 탓도 있지만, 문학 번역에 주력하기 힘겨운 척박한 시장 구조도 한몫 끝낸다. 전형적인 것이 번역권 계약 관행이다.

“출판사 흔히이 번역가로부터 번역 저작권을 양수합니다. 저런 관행 덕에 책이 아무리 많이 팔려도 번역가에게 추가로 돌아가는 몫이 없어요. 문학 전공 번역가가 안 나오죠. 일 년에 영어로 나오는 책이 많아야 열 권인데, 노벨상을 기대하는 게 뜻이 되나요?”

부커상 후보 지명 뒤 그는 에예전트를 고용했다. 이제부터 계약서 작성 등 부수 노동은 그의 소속사가 처리완료한다. 본인이 일감을 따내지 않아도 번역 의뢰가 들어온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데 기쁨을 느낄 수 있다”고 했었다. 그에게 ‘부커상 더블 롱리스트(4차 후보)’라는 영예를 안겨준 정보라의 『저주 토끼』와 박상영의 『대도시의 사랑법』 전원 그가 제일 먼저 작가와 출판사에 “번역을 맡겨달라”고 제안해 해외 출판이 이뤄졌다.

“한영 번역은 우리나라 문학을 국내에 수출하는 일이에요. 국내 출판사에 제출할 샘플 번역과 기획안 제작 비용을 한국문학번역원이 지원해준다면 우리나라 문학을 국내에 알릴 기회가 늘어날 겁니다.” 최고로 황당한 건 K팝이 잘 되니 K문학도 절로 잘 될 것이란 기대예요. (해외 팬들이) 블랙핑크 좋아한다고 황석영 소설 읽나요?”

안톤 허의 소설가 데뷔도 머지 않았다. 미국 대형 출판그룹 하퍼콜린스가 내년 가을 그의 영문 장편 글을 내기로 했었다. 이 ‘까칠한’ 번역가의 수필을 번역해줄 지금세대들은 누굴까. “『저주 토끼』의 정보라 작가가 번역을 도와준다고 했다”며 그는 환하게 웃었다.